AI 폭주로 시장 붕괴? 짐 리카즈가 경고한 ‘플래시 크래시’ 위험!
짐 리카즈는 최근 Insider Intel에서 AI 기반 트레이딩이 시장을 붕괴시킬 위험에 대해 경고했습니다. 그는 우리가 흔히 논의하는 DeepSeek, 중국, NVIDIA 등의 이슈와는 다른 방식으로 AI가 금융 시장에 미칠 영향을 분석하며, 특히 AI 알고리즘의 집단적 사고가 불러올 위험을 강조했습니다.
그는 말합니다.
"궁극적인 위험은 수조 달러의 자산을 관리하는 대규모 자산 관리자들이 모두 동일하거나 유사한 AI 알고리즘을 리스크 관리 역할에 사용하는 경우에 발생합니다. 특정 자산 관리사의 AI가 급락하는 시장에서 주식을 매도하라고 지시한다고 가정해 봅시다. 어떤 경우에는 AI가 추가적인 인간의 개입 없이 매도를 실행할 권한을 가질 수도 있습니다.
개별적으로 볼 때, 이는 특정 관리자에게 최선의 선택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전체적으로 보면, 능동적 투자자(active managers), 전문 시장 조성자(specialists), 또는 투기자(speculators)들로부터의 매수 주문이 없는 상태에서 매도 행렬이 발생하면 주가가 직선으로 하락하게 됩니다. 피드백 루프를 통한 증폭 효과로 상황은 더욱 악화됩니다.
개별 AI 시스템마다 매도 트리거(trigger) 지점이 다릅니다. 모두가 한 번에 촉발되지는 않겠지만, 매도가 매도를 불러일으키면서 결국 모든 시스템이 작동하게 될 것입니다. 문제는 로봇들 사이에는 반대 의견을 가진 존재가 없다는 것입니다. 시스템에 투자 심리를 반영하는 기술은 아직 미개발 상태입니다."
그는 대규모 자산 관리자들이 유사한 AI 모델을 사용하게 되면, 특정 시장 상황에서 일제히 매도를 실행할 가능성이 커진다고 지적합니다. 예를 들어, 시장이 급락할 경우 각자의 AI 시스템이 매도를 지시할 것이고, 때로는 인간의 개입 없이 자동으로 실행될 수도 있습니다. 개별적으로는 최선의 선택일 수 있지만, 전체적으로 보면 시장 전반에 걸쳐 매도세가 겹쳐지면서 급격한 하락을 초래할 위험이 있습니다.
이는 과거 플래시 크래시와 유사한 메커니즘을 가지고 있습니다. 2010년 5월 6일, 알고리즘 트레이딩이 폭발적으로 매도세를 일으키며 S&P 500 지수가 불과 몇 분 만에 9% 하락했던 사례가 대표적입니다. 당시 문제는 자동화된 매매 시스템들이 서로 피드백을 주고받으며 연쇄적인 매도 폭풍을 일으켰다는 점이었습니다. AI 기반 트레이딩이 시장을 주도하는 현재, 이와 같은 현상이 더욱 극단적인 형태로 재현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이미 알고리즘 트레이딩은 미국 주식 시장 거래량의 65~70%를 차지하고 있으며, AI가 결정을 내리는 과정이 더욱 정교해지고 있습니다. 특히 대형 금융사들은 LLM(GPT 기반 모델)을 활용하여 소셜 미디어와 뉴스 데이터를 분석하고 투자 심리를 파악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모델이 유사한 결론에 도달할 경우, 시장 전체가 하나의 방향으로 움직이며 변동성이 증폭될 가능성이 큽니다.
또한 AI 모델이 업그레이드될 때마다 시장이 혼란에 빠질 수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기존의 ChatGPT 모델이 데이터를 낙관적으로 해석했지만, DeepSeek R1이 등장하면서 동일한 데이터를 비관적으로 해석하면 시장 방향이 급격히 변할 수도 있습니다. 더욱 위험한 것은 대다수의 트레이딩 기업이 새로운 AI 모델을 도입할 때마다 시장이 어떻게 반응할지 예측하기 어려워진다는 점입니다.
짐 리카즈는 AI 트레이딩 모델을 프랑켄슈타인의 괴물에 비유했습니다. 원작 소설 속 괴물은 단순한 살인마가 아니라, 언어를 배우고 철학을 논하는 지성을 지닌 존재였습니다. 하지만 문제는 그에게 ‘영혼’이 없다는 점이었습니다. AI도 마찬가지입니다. AI는 학습을 통해 스스로 판단할 수 있지만, 인간이 가진 본능적이고 감정적인 요소는 반영되지 않습니다. 그 결과, AI 기반 트레이딩이 시장을 주도할 경우 인간적인 ‘대응력’이 사라지면서 극단적인 매매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이러한 위험을 대비하는 한 가지 방법으로 짐 리카즈는 금과 은과 같은 실물 자산을 활용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조언합니다. 디지털 시장이 AI 주도형으로 변하면서, 실물 자산이 헤지 수단으로 더욱 가치가 높아질 수 있습니다. 실제로 그는 최근 은 가격이 3.6% 상승하며 강세를 보이고 있다고 언급하며, 투자자들께서 AI 리스크를 대비하는 전략을 고민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https://youtube.com/shorts/-JTJU9OF4cE
'투자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짐 리카즈] 트럼프 경제 정책, 주식 시장 붕괴 부를까? 역대급 금융 위기 경고! (2) | 2025.02.03 |
---|---|
짐 리카즈: 트럼프 행정부의 빠른 출발과 2025년 경제 전망 (0) | 2025.02.03 |
비트코인 금융 혁명의 서막! 인카인드 방식과 SAB 121 철회의 영향 #블랙록 #etf #BTC (1) | 2025.01.31 |
SEC의 한 수, 비트코인 ETF 대변혁! 금융 시장이 바뀐다 (0) | 2025.01.31 |
기술주 폭락, 이제 시작일까? AI 혁명이 부른 대혼란! (1) | 2025.01.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