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mphleteer

반응형

1997년 아시아 외환위기 당시 국내 시총 30개 종목과 2008년 리먼 사태때 국내 시총 30개 종목을 비교해 보시고 2008년 리먼 사태때 국내 시총 30개 종목과 현재의 시총 30개 종목을 비교해 보면, 대기업이라고 해도 상당수의 기업들이 사라지고 다시 나타났음을 알 수 있을 것입니다.

 

혹자들은 쉽고 간단하게 말 합니다.
우량한 회사 주식에 장기 투자하라고.
그러나 위와 같은 이유로 국내에서 현재 우량한 회사의 주식이라고 해서 10년뒤에 그 회사가 생존해 있으리라는 확신이 없는데, 어떻게 장기투자를 할 수 있을까요?

 

그래서 저는 주린이들에게 차라리 ETF의 가격 변동성에 편하게 장기 투자하라고 권합니다.

 

우선, ETF의 상품에 대해 알아봐야 할텐데요.
어렵지 않습니다. 간단히 말하면, 자산운용사가 사들이는 각종 주식이나 원자재를 묶어놓은 상품으로 주식처럼 쉽게 사고 팔 수 있게 만들어놓은 상품이라고 알아두시면 됩니다. 예를 들면, <KODEX레버리지>라는 상품을 보면, 삼성자산운용사에서 만든 국내 주식관련 지수 상품으로 KOSPI지수가 오르내릴때 <KODEX레버리지>의 가격은 두배로 오르내리도록 만든 상품입니다. 

 

여기에서 질문이 하나 떠오르실 겁니다. 
<KODEX레버리지>가 회사처럼 상장폐지되면 어떻게 될까요?
자본시장이 망하기 전에 그럴 일이 일어나지 않을 것이라 생각하지만, 혹시라도 유동성의 부족으로 상품이 인기가 없어서 상장폐지된다면 일단 <KODEX레버리지>에 편입되어 있는 종목들의 주식은 한국예탁결제원에 보관되어 있어 현재 가격으로 모두 돌려받을 수 있습니다.
또다른 궁금증도 있으실 겁니다. <KODEX레버리지>에 편입되어 있는 회사가 부도가 나면 어떻게 되나요? 그건 손실처리되어 <KODEX레버리지>의 가격 하락에 영향을 줄 뿐 <KODEX레버리지>라는 상품이 부도날 일은 없다고 말씀드릴 수 있습니다.

 

이제 간단히 상품에 대해 이해를 해봤으니, 이제 게임의 룰에 대해 알아보실까요?

 

주식의 가격은 늘 오르락 내리락을 반복합니다. 그러나 자본주의의 통화발권 시스템의 특성상 이자와 인플레이션을 좀 이해하실 필요가 있는데, 경제가 성장하면서 통화발권이 늘어나면 이자가 발생하고 이 이자를 갚기위한 인플레이션이 일어나게 됩니다. 물론, 위에서 언급했던 1997년 아시아 외환위기나 2008년 리먼 사태때는 경제가 역성장하며 급격히 위축되었던 시기도 있었습니다만, 그런 일이 간혹 벌어진다고 하더라도 장기적으로보면 경제는 성장과 확장을 하며 그에 맞는 통화발권이 이루어지고 인플레이션이 일어나서 가격이 상승하는 것이 주된 모습입니다.

 

이러한 원리를 이용하여 <KODEX레버리지> ETF를 가격이 떨어지면 혹은 정기적으로 계속 매집하여 모으는 것입니다. 그리고 이렇게 분할 매집한 ETF의 평균 가격보다 현재 가격이 높아지면 적당한 수익을 거두고 물량을 청산해 버리는 것이죠.

 

예를 들면, 저 같은 경우, 컴퓨터를 사용해서 자동으로 <KODEX레버리지> ETF의 가격이 -3% 하락할 때마다 계속 반복적으로 매집하였다가 매입평균단가보다 5%이상 수익이 나면 전량 청산하고 다시 매집을 시작하는 전략으로 시중은행 금리나 인플레이션보다 높은 연수익을 꾸준히 안정적으로 올리고 있습니다.

 

이렇게 투자를 하면, 굳이 주가가 오르니 떨어지니 걱정하지 않아도 되고 상장폐지 걱정도 없고 속이 편안합니다.

 

그림으로 보여드리면 이렇습니다.

 

5월 10일, 11일, 13일 하락시마다 매수를 해서 6월 25일 5% 수익을 거두며 전량 청산을 하였습니다.

 

현재는 이렇게 가지고 있습니다.

7월 5일, 9일 매수가 들어간 상태로 <KODEX레버리지> ETF의 가격은 횡보하는 상태입니다.

 

동기간인 5월초부터 지금 8월초순까지 <KODEX레버리지> ETF의 가격은 박스권에서 횡보중이지만, 저는 어느정도의 수익을 거둔 상태입니다.

 

이런 식으로 반복적으로 꾸준히 장기적으로 투자하는 마음 편한 전략도 있습니다.

 

물론, 미국주식시장에는 <KODEX레버리지>보다 더 가격 변동성이 큰 x3배짜리 상품도 있습니다.

그걸 이용하면 효과는 더 좋겠지요? ^^

반응형